역사(8)
-
서울의 쓰레기 하치장 - 난지도의 변화와 역사
서울의 쓰레기 하치장 - 난지도의 변화와 역사 여러 곳에 광화문 밖이나 독립문 밖이나 북부의 북부 옥동 지역에 공터나 이런 데. 아마 우리도 산업화 초기에 여러 군데에 이런 쓰레기들이 방치돼 있는 공간이 있었는데 이런 현상들이 바로 30년대 후반 식민지 시기 말기부터 이미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다가 서울이 60년대 이후 점점 커지니까요. 그리고 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납니다. 아까 해방 직후에 한 100만 명이었던 인구가 60년대 넘어가게 되면 400만 이렇게 되니까요. 그러면서 쓰레기가 서울 도심부에 더 이상 쓰레기장으로는 유지가 안 되는 거죠. 그래서 서울에서 나오는 쓰레기들을 한곳에 모아서 처리하는 쓰레기 매립장이 지정이 되는데요. 그래서 처음에는 쓰레기 매립장이 지금 구..
2022.08.03 -
서울의 역사적 의미와 해외 사례
서울의 역사적 의미와 해외 사례 서울이라는 도시가 무엇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같이 한번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역사라는 것이 그런 의미에서 인간에게 큰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볼 수 있고요. 그래서 역사를 어떻게 서술하고 우리가 어떻게 역사를 받아들일 것인가의 문제가 우리 삶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데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 관점에서 서울이라는 도시의 역사를 바라보게 되면, 예를 들면 지난 1세기 남짓한 근현대 시기의 변화만 들여다보더라도 서울은 어마어마한 역사를 경험했죠. 정말 천국과 지옥을 오가는 널뛰기 역사를 경험했다고 할 수도 있을 거고요. 식민화, 전쟁, 이런 아주 참혹한 수탈과 폐허의 역사 위에 불과 반세기 만에 초고속 성장의 어마어마한 금자탑을 ..
2022.07.30 -
서울과 수도권 단지 변화의 역사(성남, 과천)
서울과 수도권 단지 변화의 역사(성남, 과천) 1960년대 말 박정희 정권 시기에, 서울 도심 구 4대 문 안 지역에 도시 빈민들이 대다수 밀집해 있었고 불량 주거지가, 소위 판자촌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들이 도심 구에 널려 있었습니다. 그것은 이미 일제 말기부터 조금 그런 부분이 있었지만 그때부터 토막 민 이렇게 해서 도시 빈민들이 모여 사는 불량 주거지들이 도심부 곳곳에 있었는데요. 결정적으로 그런 도시 빈민이 서울의 도심부 한가운데를 장악하게 된 것은 한국전쟁의 결과물이죠. 그러니까 6.25 전쟁으로 인해서 많은 피난민이 도시로 몰려드는데 그 당시 행정 권력 공백 상태에서 빈 공터가 있으면 거기에 다 불량 주택 판잣집을 짓고 사람들이 모여 살게 된 것이죠. 그래서 이승만 정권기에는 그 부분에 대해서..
2022.07.30 -
서울 2천년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서울 2천년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서울 2000년 사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들어가면서 첫 번째 질문은 이겁니다. 서울은 그렇다면 조선왕조가 새롭게 건설한 신도시인가? 이게 사실 서울 600년 사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 질문에 대해서 우리가 Yes라고 하겠죠. 그러나 서울 2000년사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이것은 당연히 No입니다. 2017년에 서울역사편찬원에서 고대부터 현대까지 서울 역사를 2000년으로 집대성해서 40권으로 완간을 했는데요. 이것은 사실 지난 94년도에 출간했던 서울 600년 사를 증보·수정한 것인데, 단순한 증보·수정이 아니라 600년에서 2000년으로 서울의 역사를 대폭 확장하면서 재정립한 것이라고 할 수 있죠. 그래서 이 역사책에는 과거 서울 정도 600년 사, 그러..
2022.07.28 -
지방자치단체들의 지역 정체성 찾기 위한 노력
지방자치단체들의 지역 정체성 찾기 위한 노력 서울 2000년 사 혹은 경기 1000년 사라는 얘기들이 최근에 관찬사서들 중심으로 해서 많이 제기가 되고 있다고 말씀을 드렸는데요. 시야를 더 넓혀 보면 사실 서울, 경기뿐만 아니라 바야흐로 지역사회 전성시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사실 지방자치제가 늦게 시작되었기 때문에 이게 좀 더 늦게 시작된 거라고도 볼 수 있는데요.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자기 지역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노력이 결국은 그 지역의 역사를 정리하고 새롭게 쓰는 작업으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광역 도시 중심의 역사 찾기 부산, 인천, 대구, 대전 등 광역 대도시들이 중심이 되고 있고요. 이건 사실 얼마나 재정이 충실한 지역인가에 따른 결과를 낳기 때문에 지역 불균등 발전의 여파가 ..
2022.07.28 -
조선시대 서울의 지리와 역사
조선시대 서울의 지리와 역사 조선시대 도읍이었던 한성부, 한양 4대 문 안 지역에 남겨져 있는 도시의 기억 혹은 도시의 유산에 대해서 오늘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 장의 지도에서부터 먼저 여러분 설명을 드리려고 하는데요. 17세기에 김수홍이라는 사람이 그린 '조선 팔도 고금 총람도'라는 지도입니다. 이 지도를 보시면 우리가 지금 생각하고 있는 한반도의 지도와 비교해보면 상당히 지도가 일그러져 있다고 생각을 하실 텐데요. 당연히 우선 눈에 띠는 것이 북한 지역에 남한 지역에 비해서 현저하게 도시가 왜곡되어 있고, 작게 그려져 있다고 생각이 되실 겁니다. 그런데 사실 어떻게 보면 농경시대 사람들의 눈에는 이게 훨씬 더 정확한 지도라고 볼 수 있을 겁니다. 즉, 실측 지도는 전혀 아닙니다. 농경시대의 관점..
2022.07.27